728x90
반응형
1. 내측 측부 인대 손상 (MCL 부상)
- 원인
무릎의 내측(안쪽)을 지지하는 인대인 MCL이 손상될 경우 생김. 보통 외부 충격(축구, 농구 등에서 접촉)이나 무릎이 안쪽으로 꺾이면서 발생. - 증상
무릎 안쪽이 찌릿하거나 뻐근하게 아프고, 부종이 생기기도 함.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불안정감이 있을 수 있어. - 해결 방법
- 초기에는 RICE 요법 (Rest, Ice, Compression, Elevation)
- 2~3일 지나면 가벼운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 (무릎 주변 근육 강화)
- 심한 경우 정형외과 진료 후 물리치료, 필요시 보조기 착용
2. 반월상 연골판 손상 (Meniscus Tear)
- 원인
갑작스러운 방향 전환, 점프 후 착지, 스포츠 부상으로 발생. 특히 나이가 들면 퇴행성 변화로도 잘 손상됨. - 증상
무릎 안쪽 깊숙한 통증,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과정에서 '딸깍' 소리, 잠김(locking) 현상, 붓기 - 해결 방법
- 초기에는 안정 및 냉찜질
- 상태에 따라 물리치료와 재활 운동
- 심하면 MRI 검사 후 관절경 수술 고려
3. 거위발건염 (Pes Anserine Bursitis / Tendinitis)
- 원인
무릎 안쪽 아래쪽(경골 내측부)에 붙는 힘줄 부위에 염증이 생김. 주로 과사용(과도한 걷기, 달리기), 잘못된 자세, 내측 근육 약화, 비만 등에서 발생 - 증상
무릎 안쪽 아래에 국소적인 통증과 눌렀을 때 아픔. 계단을 오르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 증가 - 해결 방법
- 안정과 냉찜질
- 스트레칭 및 하체 근력 강화 운동 (허벅지 안쪽, 둔근 등)
- 필요하면 소염제 복용이나 주사 치료
4. 퇴행성 관절염 (Osteoarthritis)
- 원인
무릎 연골이 닳아서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중장년층에서 발생. - 증상
무릎 안쪽 통증, 뻣뻣함, 운동 후 악화, 계단 오르내릴 때 힘듦, 관절이 붓거나 변형됨 - 해결 방법
- 체중 관리 (체중이 무릎에 주는 부담 감소)
-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운동 (허벅지 앞쪽 근력 강화: 쿼드셋, 스쿼트 등)
- 보조기구 착용 (내측 지지대, 무릎 보호대 등)
- 증상 심하면 주사치료, 약물 치료, 마지막으로 인공관절 치환술 고려
5. 내측 반월상 연골판 변성 (Degenerative Meniscus Tear)
- 원인
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연골의 퇴행성 변화 - 증상
반복적인 무릎 내측 통증, 무릎이 붓거나 걸리는 느낌 - 해결 방법
- 보존적 치료 우선 (운동요법, 소염제, 물리치료)
- 통증 지속 시 MRI 검사 후 수술 여부 결정
6. 내측 대퇴두염 (Medial Femoral Condyle Pain Syndrome)
- 원인
과사용으로 무릎 내측 뼈 부위가 압박받아 통증이 생기는 경우 - 증상
특정 동작(예: 오래 걷기, 쪼그려 앉기 등) 후 무릎 안쪽 뼈가 뻐근하게 아픔 - 해결 방법
- 휴식 및 체중 조절
- 근력 강화 운동
- 필요시 체외충격파 치료(ESWT) 등 비수술적 요법
7. 슬개대퇴통증 증후군 (Patellofemoral Pain Syndrome)
- 원인
슬개골이 정렬 불량하거나 대퇴사두근 약화로 무릎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걸릴 때 - 증상
무릎 앞쪽과 안쪽까지 아플 수 있으며, 장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통증 - 해결 방법
- 허벅지 근력 강화 운동 (대퇴사두근, 둔근 강화)
- 무릎 정렬을 개선하는 테이핑
- 신발 깔창 보조
기본적인 대처법 정리
- 통증이 심한 경우 휴식과 냉찜질
- 통증이 잦아들면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(허벅지 안쪽, 둔근, 종아리 포함)
- 과체중인 경우 체중 감량 시도
- 정형외과에서 X-ray 또는 MRI 검사 후 정확한 진단 받기
- 지속적인 경우 물리치료 또는 주사치료 병행
혹시 언제부터 아팠는지, 운동을 하다 다친 건지, 걸을 때 더 아픈지 앉았다 일어날 때 아픈지, 에따라 전문가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세요.
728x90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전증의 원인과 치료방법 (0) | 2025.03.16 |
---|---|
피부암의 주요 종류,피부암의 일반적인 원인 정리,의심 증상 있을 때 대처법 (0) | 2025.03.16 |
황달은 눈에 가장 먼저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. (4) | 2025.03.15 |
간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중요한 요소및 필수 영양소 (0) | 2025.03.15 |
근육 수축이완이 안될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증상과 관련,근육 강화에 필수적인 영양소 TOP 6 (0) | 2025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