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🟢 낙동강 녹조 사태 요약
📍발생 지역
- 낙동강 본류 (특히 4대강 사업 이후 보가 설치된 구간)
- 주로 합천창녕보, 달성보, 강정고령보 등에서 많이 발생
📅 주요 시기
- 매년 여름철 (6~9월)
- 2012년~현재까지 매년 반복 발생
💥 왜 발생했을까?
원인설명
4대강 보 설치 | 유속 저하 → 물 흐름 정체 → 조류 서식 최적화 |
수온 상승 | 여름철 기온 + 수온 상승 → 조류 성장 촉진 |
영양염류 유입 | 농업/생활 하수 등에서 질소(N), 인(P) 유입 → 조류 먹이 |
강수량 감소 | 비가 적게 오면 물이 덜 흘러나가고 → 조류 계속 누적됨 |
🧪 녹조가 미치는 영향
- 용존산소 저하 → 밤에는 산소 부족 → 물고기 폐사
- 냄새, 색깔, 미관 문제 → 식수 불안
- 독성 물질 생성 (특히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 조류)
- 생태계 교란 → 원래 있던 생물 다양성 ↓
- 강 표면이 초록 물감처럼 물들어 있음 - 녹색 거품, 악취, 물고기 폐사 - "녹조 라떼"라는 별명도 있음
🧾 주요 원인
- 보 설치로 인한 유속 저하
- 4대강 사업 이후 설치된 다수의 보로 인해 강물이 정체되고, 조류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.
- 수온 상승
- 여름철 고온으로 수온이 올라가면서 조류 번식 속도가 빨라집니다.
- 영양염류(질소, 인) 유입
- 농업, 하수, 축산 폐수 등에서 유입되는 질소(N)와 인(P)은 조류의 먹이로 작용합니다.
- 강수량 부족
- 강우량이 줄어들면 하천의 자연 정화 기능이 약화되어 녹조가 계속해서 누적됩니다.
⚠️ 발생 시기 및 지역
- 시기: 6월~9월 사이 반복적으로 발생 (특히 장마 이후 고온기)
- 지역: 낙동강 중·하류 본류, 특히 합천창녕보, 강정고령보 등 보 주변
🧪 녹조의 영향
- 수질 악화: 물의 색, 냄새, 맛이 변하고 식수로서 불안정
- 용존산소(DO) 저하: 밤에는 조류가 산소를 소비하여 생물에 악영향
- 독성물질 발생: 일부 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틴 등 간 독성 물질을 분비
- 생태계 파괴: 어류 폐사, 생물 다양성 감소
🔍 대응 방안 (요약)
- 보 수문 개방을 통한 유속 회복
- 영양염류 관리 (하수처리 강화, 농업비료 사용 조절)
- 조류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
- 자연형 하천 복원을 통한 수질 자정 능력 회복
📌 결론
낙동강 녹조 사태는 단순히 여름철 기후 문제만이 아닌, 수리구조물 설치, 오염물질 유입, 수온 변화 등 다양한 인위적·자연적 요인의 복합 결과입니다. 따라서 구조적·제도적 접근이 동시에 필요하며, 장기적인 수질 회복과 생태 복원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합니다.
728x90
'생활속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아노 악보 보는 법 정리 (초보자용),음의 위치와 이름,음표와 쉼표,피아노손가락번호 (0) | 2025.04.09 |
---|---|
바이올린 악보보기 정리,개방현음 (0) | 2025.04.09 |
용존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수질이 좋다.물에 녹아 있는 산소 분자(O₂),조류 번식(녹조현상)과 오염 물질이 용존산소(DO)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4.06 |
과속카메라 종류, 위치, 속도 제한 정리 (0) | 2025.04.02 |
운전면허 벌점 종류,면허 정지 기준 (벌점 누적에 따른 정지),면허 취소(해지) 기준,특별감면 제도를 통해 벌점줄이는 방법 (0) | 2025.04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