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1. 바둑 기본 개요
항목내용
바둑판 | 19x19 교차점(정석 크기). 초보자는 9x9나 13x13으로 시작 가능 |
돌 | 흑(검정), 백(하양) 두 종류. 흑이 선공 |
목적 | 더 넓은 집(영역)을 차지하는 사람이 승리 |
⚫ 2. 바둑판과 돌 놓는 법
- 바둑판은 격자(선과 선이 만나는 점, ‘교차점’)로 구성됨.
- 돌은 교차점에 놓습니다.
- 돌은 한 번 놓으면 움직이지 않음.
- 상대방과 번갈아가며 한 수씩 놓습니다.
🔄 3. 수의 기본 원리
● 자유도(기력, 기력점, 숨구멍)
- 바둑에서 돌은 **인접한 빈 교차점(상하좌우)**을 통해 생명을 유지해요.
- 이 빈 점들을 "자유도(기력)"라고 해요.
예: 돌이 4방향으로 모두 막히면 잡히게 됩니다.
📌 4. 돌을 잡는 법 (포획)
- 상대방의 돌의 자유도를 모두 차단하면 그 돌은 잡힙니다.
- 잡힌 돌은 판에서 제거되고, 자신의 집계산에 포함되지 않음.
- 단체로 연결된 돌도 자유도가 모두 막히면 한꺼번에 잡힘.
⛔ 5. 금수 (놓으면 안 되는 자리)
- 자살금지: 자기가 돌을 놓자마자 바로 잡히는 수는 둘 수 없음.
- 패(劫, Ko): 반복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즉시 되풀이하는 수를 금지함.
예외적으로, "패를 따는 수"는 한 수 쉬고 다시 둘 수 있음.
🏯 6. 집 짓기 (영역 만들기)
- 돌을 둘러 놓아, 빈 공간을 감싸는 것이 집이에요.
- 게임이 끝났을 때, 돌로 감싼 영역의 칸 수가 많을수록 유리함.
- 돌은 모양 만들기 + 상대 돌 잡기 + 내 집 만들기의 수단.
🏁 7. 바둑 끝내기
- 두 사람이 더 이상 둘 곳이 없다고 판단되면 **‘계가(집 계산)’**를 합니다.
- 각자의 집과 잡은 돌의 수를 세서 점수가 더 높은 쪽이 승리합니다.
**백은 보통 6.5집(덤)**을 더 받습니다. 흑이 선공이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에요.
🧠 8. 기본 전략
전략 요소설명
모양 | 돌의 배열 형태. 좋은 모양은 강하고 안정적 |
연결 | 돌과 돌을 연결해 잡히지 않게 함 |
차단 | 상대 돌을 분리시키면 잡기 쉬움 |
집짓기 | 효율적으로 영역 확보 |
중심 vs 외곽 | 중앙도 중요! 단, 집은 외곽에서 만들기 쉬움 |
📚 9. 바둑 용어 몇 가지
용어뜻
사활 | 돌의 생사 여부 |
끊기 | 상대 돌을 연결되지 못하게 자르는 수 |
젖힘 | 상대의 모양을 흔드는 공격적인 수 |
한칸높임 | 돌을 한 칸 뛰며 연결하는 기본 수법 |
축, 장문 | 상대 돌을 추격해 잡는 기술 |
초보부터 고수까지 알아두면 좋은 바둑 용어를 한글+간단한 설명과 함께 주제별로 총정리
🧱 1. 기초 개념
용어설명
집 | 돌로 둘러싸인 자신의 영역 (점수의 기본 단위) |
수 | 돌을 한 번 놓는 행위 |
흑 / 백 | 흑은 먼저 두는 사람, 백은 나중에 두는 사람 |
착수 | 돌을 놓는 것 |
종국 | 게임이 끝나는 상태 |
계가 | 게임 후 집을 세어서 승패를 가리는 것 |
덤 | 흑이 선공이라 백에게 주는 보정점수 (보통 6.5집) |
바둑판 | 바둑을 두는 격자판. 보통 19x19, 13x13, 9x9 |
🧠 2. 전략/전술 용어
용어설명
정석 | 서로 최선의 수를 두었을 때 나오는 대표적인 수순 |
포석 | 바둑 초반에 전반적인 돌의 배치 전략 |
중반전 | 공격/방어/집짓기 등이 활발해지는 중간 단계 |
끝내기 | 마지막 영역 확정 및 점수 경쟁 단계 |
세력 | 중앙이나 넓은 지역에 깔아둔 돌로 형성된 힘 |
실리 | 실제 집으로 계산 가능한 부분 |
사활 | 돌이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판단하는 상태 |
생(生) | 돌이 영원히 잡히지 않는 상태 |
사(死) | 잡힌 돌 또는 구조상 도저히 살 수 없는 돌 |
수읽기 | 앞으로 수를 예측하며 계산하는 능력 |
🪤 3. 공격/수비 용어
용어설명
끊기 | 연결된 돌 사이를 가로막는 수 |
붙이기 | 상대 돌 옆에 돌을 붙이는 수 |
젖힘 | 상대 돌을 휘감아 제압하는 수 |
늘기 | 붙인 돌의 방향으로 돌을 덧붙이는 것 |
단수 | 돌의 자유도가 1개만 남은 상태 |
단수치기 | 상대 돌을 단수 상태로 만드는 수 |
따내기 | 상대 돌을 잡아내는 것 |
축 | 대각선처럼 몰아가며 상대 돌을 잡는 기술 |
장문 | 상대 돌을 넓게 감싸면서 잡는 기술 |
빵따냄 | 복수의 돌을 한 번에 잡아내는 수 |
몰이 | 돌을 한 방향으로 유도해 잡는 작전 |
🔗 4. 연결과 모양
용어설명
연결 | 두 돌 사이를 안전하게 이어주는 것 |
끊김 | 돌 사이가 이어지지 않아 위험한 상태 |
호구 | 안전한 연결 형태 (ㄱ자 모양) |
삼삼 | 바둑판 변의 세 번째 지점. 실리 확보에 좋음 |
귀 | 바둑판 네 귀퉁이. 가장 집짓기 쉬운 곳 |
변 | 바둑판 가장자리 |
중앙 | 판 한가운데. 세력 싸움이 중요함 |
요점 | 전략상 핵심이 되는 자리 |
타개 | 위험한 돌을 살려내는 작전 |
삭감 | 상대의 집을 줄이는 수 |
견제 | 상대가 세력을 못 넓히게 방해하는 것 |
⚔️ 5. 상황/판단 관련 용어
용어설명
패(劫, Ko) | 같은 형태가 반복되는 걸 방지하는 규칙 |
패감 | 패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 |
금수 | 둘 수 없는 자리 (자살수, 규칙 위반 등) |
자충수 | 스스로 자유도를 줄여 잡히는 실수 |
무르기 | 착수 후 실수로 판단하여 다시 두는 것 (비공식적) |
덤빵 | 아무 생각 없이 받아주기만 하는 수 |
한점머리 | 하나의 돌 위쪽. 취약한 자리로 공격받기 쉬움 |
🧓 6. 대국 관련 용어
용어설명
복기 | 대국 후 수순을 되짚으며 복습하는 것 |
계시기 | 시간을 재는 시계. 보통 초읽기 포함 |
초읽기 | 제한시간 이후 30초~60초 단위로 시간 재는 방식 |
불계승/불계패 | 돌을 다 잡히거나 항복하여 계산 없이 끝남 |
시간패 | 제한시간을 초과해서 지는 것 |
덤승 | 백이 덤을 포함해 이기는 경우 |
📚 7. 그 외 흥미로운 용어
용어설명
행마 | 돌을 놓는 수법 전체 |
공배 | 안쪽이 비어 있는 자리. 집으로 계산 안 됨 |
외길수 | 다음 수가 명확한 유일한 길 |
난전 | 복잡한 싸움이 얽힌 상황 |
맛보기 | 두 가지 위협을 동시에 주는 수 |
대마 | 판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큰 무리의 돌 |
낙수 | 실수로 잘못 놓은 수 |
고수 | 실력이 뛰어난 사람 |
초보/입문 | 바둑을 처음 배우는 단계 |
수순 | 실제로 두어진 순서 |
형태/형세 | 전체적인 돌의 배치 상태 |
728x90
반응형
'생활속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어 동사활용법,활용법(て형・た형)과 자주 쓰이는 문형 표현(〜たいです, 〜ましょう 등)기초 문장 만들기 (0) | 2025.04.09 |
---|---|
일본어 문장의 기본 구조정리,히라가나(ひらがな)와 가타카나(カタカナ) 일본어의 두 가지 음절 문자 (0) | 2025.04.09 |
오카리나 악보 보는 법,운지표(지공을 막는 방법),악보에 자주 등장하는 기호, (0) | 2025.04.09 |
피아노 악보 보는 법 정리 (초보자용),음의 위치와 이름,음표와 쉼표,피아노손가락번호 (0) | 2025.04.09 |
바이올린 악보보기 정리,개방현음 (0) | 2025.04.09 |